미국 주택 가격이 11년 만에 처음으로 전년 동월보다 하락했다. 미 부동산중개인협회는 2월 기존주택 중위가격이 36만3천 달러(4억 7천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2% 떨어졌다고 21일(현지시간) 밝혔다. 전년 동월 대비로 집값이 하락한 것은 2012년 2월 이후 처음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급등하던 미국 집값은 지난해 6월 역대 최고치를 찍은 뒤 하락세로 전환했다.
다만 새해 들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다소 진정되고 저가 매수세가 유입돼 1월 중위가격 36만 1200달러에 비해서는 다소 올랐다.
2월 매매 건수는 458만 건으로 전달보다 무려 14.5% 급증했다.
미국 주택가격 11년만에 하락…매매는 15% 폭증 - 노컷뉴스 (nocutnews.co.kr)
출처 : 노컷뉴스
▶나스닥 0.5% 하락…국채 금리 4% 돌파+은행 규제 압박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지수는 국채수익률(금리)과 은행주 압박에 일제히 하락했다.
국채금리가 상승하면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에 부담이 가중됐다. 2년 만기 국채금리는 4% 넘게 오르며 6개월 만에 최저치에서 상승했다.
3월 미국 소비자 신뢰지수는 예상을 깨고 상승했지만 노동시장에 대해 다소 불안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P500의 11개 업종 가운데 6개는 내리고 5개는 올랐다. 하락폭은 통신서비스 -1.02%로 가장 컸고 상승폭은 에너지 +1.45%로 가장 컸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가 많이 떨어져 하락장을 주도했다.
[뉴욕마감]나스닥 0.5% 하락…국채 금리+은행 규제 압박 - 뉴스1 (news1.kr)
출처 : 뉴스1
▶SVB 나비 효과? 서브프라임 사태 재현 가능성 높지 않은 이유[아기곰의 부동산 산책]
최근 미국에서 실리콘밸리은행(SVB) 등 몇 개 은행이 파산하면서 다음 불똥이 모기지 채권이 많은 은행으로 튀는 것 아닌가 하는 의혹이 퍼지고 있다. 2007년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 담보 대출) 부실 사태가 재현되지는 않을지 염려하는 것이다. 2007년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는 왜 발생했는지, 그때와 지금의 유사점과 차이는 무엇인지 알아보자.급격한 금리 인상이 서브프라임 사태의 원인대출을 받은 사람들이 보는 서브프라임 사태의 원인은 급격한 금리의 인상이라고 할 수 있다.
2000년 초 정보기술(IT) 버블이 꺼지면서 미국 경제가 휘청거리자 미국 중앙은행(Fed)은 미국 기준금리를 1%까지 급격히 낮추게 된다. 이 덕분에 부채가 많은 기업들이 한숨을 돌리고 미국 경제가 살아나는 것까지는 좋았지만 저금리를 기반으로 미국 집값도 꿈틀거렸다. 그러자 Fed는 자산 시장에 끼기 시작한 버블을 제거하기 위해 2004년 6월부터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문제는 금리 인상 속도와 폭이었다. 미국 경제가 적응하기 어려운 속도로 금리가 인상됐던 것이다.
SVB 나비 효과 서브프라임 사태 재현 가능성 높지 않은 이유아기곰의 부동산 산책 │ 매거진한경 (hankyung.com)
출처 : 매거진한경
▶"효과 있네"…EU, 내년 3월까지 '가스 사용 15% 감축' 시행 연장
유럽연합(EU)이 천연가스 사용을 나라별로 15%씩 자발적으로 감축하는 방안을 내년 3월까지 연장 시행하기로 28일(현지시간) 합의했다.
EU 27개국 에너지 장관들은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회의에서 다음 겨울 난방 수요 등에 대비하기 위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EU는 러시아의 유럽행 가스 공급 감축 여파로 유럽 가스 가격이 요동치자 작년 8월부터 자발적으로 15%씩 사용량을 줄이는 방안에 합의해 시행 중이다.
"효과 있네"…EU, 내년 3월까지 '가스 사용 15% 감축' 시행 연장 | 연합뉴스 (yna.co.kr)
출처 : 연합뉴스
▶알리바바, 6개 사업부문으로 분사…IPO도 검토
중국 온라인 쇼핑 공룡 알리바바가 28일(이하 현지시간) 산하 사업부문을 6개로 쪼갠다고 발표했다. 이 가운데 클라우드·인공지능(AI) 부문을 비롯한 5개 부문은 기업공개(IPO)도 검토하기로 했다.
6개 사업부문은 각자 별도의 최고경영자(CEO)와 이사회를 갖춘 독립 사업부문으로 활동하게 된다. 이번 대규모 구조조정 방안은 중국 지도부에 ‘미운 털’이 박힌 마윈 창업주가 1년 만에 중국으로 돌아온 뒤 곧바로 나왔다.
CNBC,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이날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구조조정 방안을 공개했다. 기대감에 힘입어 주가는 뉴욕증시에서 10% 넘게 폭등했다.
알리바바, 6개 사업부문으로 분사…IPO도 검토 - 파이낸셜뉴스 (fnnews.com)
출처 : 파이낸셜뉴스
▶골드만삭스 “생성형 AI로 세계 경제 年 7% 성장 가능"
‘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전세계적으로 도입될 경우 연 7%의 성장이 가능하지만 반대급부로 3억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수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즈(FT)가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의 보고서를 인용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골드만삭스는 이날 공개한 보고서에서 세계 기업의 절반 정도만 AI 기술을 채택해도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을 약 7%나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약 7조 달러(약 9086조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또한, 지난 10년간 연평균 1.3%포인트였던 미국 노동생산성 성장률을 향후 10년간 매년 1.5%포인트씩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장기적으로는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이 전망돼서다. AI 도입으로 업무에 영향을 받는 미국 노동자는 63%에 이르지만, 이들 업무의 절반 이하만 AI를 통해 자동화될 것이기 때문에 대부분 분야에서는 소수만 일자리를 잃을 것이라고 골드만삭스는 설명했다. 특히 30%의 육체적 노동 또는 실외 노동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의 경우 AI로 인한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남은 7%의 노동자들은 업무의 절반 이상이 AI로 대체될 수 있어 일자리를 잃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특히 사무·행정직, 법 관련 일자리가 가장 많이 위협받을 것으로 봤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수작업이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더 높은 것을 고려할 때, 보고서는 미국과 유로존 내에서 약 3억 개의 정규직 일자리가 AI로 대체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
골드만삭스 “생성형 AI로 세계 경제 年 7% 성장 가능" | 세계일보 (segye.com)